티스토리 뷰
철거 예정 건물이라도 종부세가 부과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이 글에서는 철거 예정 건물의 종부세 부과 대상 확인 방법을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핵심은 철거 시기와 세대원 퇴거 여부입니다.
- 철거 1년 전까지 세대원이 퇴거하지 않은 경우: 종부세 부과 대상
- 철거 1년 전에 세대원이 퇴거하고 폐쇄 조치가 완료된 경우: 종부세 부과 대상 아님
확인 방법:
- 관할 지자체 홈페이지: 주소 입력 후 종부세 부과 내역 확인
- 종부세 부과 통지서: 발송 시 확인 가능
- 직접 방문: 관할 지자체 재산세과 문
Contents
1. 철거 예정 건물이 종부세 부과 대상인가요?
1. 철거 예정 건물이 종부세 부과 대상인가요?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하는 질문입니다. 정답은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핵심은 철거 시기와 세대원 퇴거 여부입니다.
1.1 철거 시기와 세대원 퇴거 여부
- 철거 1년 전까지 세대원이 퇴거하지 않은 경우: 종부세 부과 대상
- 철거 1년 전에 세대원이 퇴거하고 폐쇄 조치가 완료된 경우: 종부세 부과 대상 아님
1.2 주의해야 할 점
- 철거 1년 전이라는 기준은 엄격하게 적용됩니다. 2024년 12월 31일에 철거 예정인 건물의 경우, 2023년 12월 31일 이전에 모든 세대원이 퇴거하고 폐쇄 조치를 완료해야 종부세 면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 폐쇄 조치란 단순히 주택을 비우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가스, 전기, 수도 등을 차단하고, 출입을 막는 등 철거될 때까지 안전하게 관리하는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 세대원이 퇴거했다고 해도 종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될 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주택을 임대해 주고 있는 경우, 임차인이 퇴거하지 않더라도 세대원으로 간주됩니다.
따라서 철거 예정 건물 소유자는 철거 시기와 세대원 퇴거 여부를 꼼꼼하게 확인해야 합니다. 만약 면제 조건을 충족하는지 확신이 서지 않는다면, 관할 지자체 재산세과에 문의하여 정확한 정보를 얻는 것이 좋습니다.
2. 종부세 부과 확인 방법
2. 종부세 부과 확인 방법
철거 예정 건물의 종부세 부과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2.1 관할 지자체 홈페이지
- 관할 지자체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 '재산세' 또는 '종부세' 메뉴를 선택합니다.
- '종부세 부과 내역 조회' 또는 '철거 예정 건물 종부세 부과 확인' 서비스를 이용합니다.
- 주소, 건축물 코드 등을 입력하여 조회합니다.
2.2 종부세 부과 통지서
매년 6월에는 종부세 부과 통지서가 발송됩니다.
- 종부세 부과 대상인 경우, 통지서에 부과된 종부세 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납부 기한 및 납부 방법도 통지서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2.3 직접 방문
관할 지자체 재산세과에 직접 방문하여 종부세 부과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필요 서류: 주민등록등본, 건축물 소유권 증명 서류 등
방문 전에 관할 지자체 홈페이지 또는 전화 문의를 통해 필요 서류를 미리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음은 종부세 부과 확인 방법을 요약한 표입니다.
관할 지자체 홈페이지 | 간편하게 확인 가능 | 홈페이지 접속 및 사용 방법 익숙해야 함 |
종부세 부과 통지서 | 정확한 정보 확인 가능 | 통지서 발송 시점에만 확인 가능 |
직접 방문 | 정확한 정보 확인 및 상담 가능 | 시간 및 노력 소요 |
어떤 방법을 선택하든, 철거 예정 건물의 종부세 부과 여부를 정확하게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종부세 부과 대상이라면, 납부 기한 내에 납부해야 합니다. 납부 기한을 지나면 가산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3. 종부세 면제 신청
철거 예정 건물이 종부세 면제 조건을 충족한다고 판단되면, 면제 신청을 해야 합니다.
3.1 신청 기간
- 매년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3.2 신청 방법
- 관할 지자체 재산세과에 직접 방문
- 온라인 신청 (일부 지자체만 가능)
3.3 필요 서류
- 종부세 면제 신청서
- 주민등록등본
- 건축물 소유권 증명 서류
- 철거 예정 사실 증명 서류
- 기타 필요 서류 (면제 조건에 따라 다름)
면제 신청 후, 관할 지자체 재산세과에서 신청 내용을 심사하여 면제 여부를 결정합니다.
면제 신청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관할 지자체 재산세과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3. 종부세 면제 조건
3. 종부세 면제 조건
앞서 언급했듯이, 철거 예정 건물의 종부세 부과를 면제받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조건은 철거 1년 전에 세대원이 퇴거하고 폐쇄 조치를 완료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 외에도 다양한 면제 조건이 존재합니다.
1. 재난으로 인해 건축물이 멸실된 경우
- 지진, 홍수, 태풍, 화재 등 재난으로 인해 건축물이 멸실된 경우, 종부세 면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 멸실 사실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를 제출해야 합니다. (예: 재난 피해 사실 확인서, 소방서 발급 화재 진압 보고서 등)
2. 도시 재개발 사업으로 인해 건축물이 철거되는 경우
- 도시 재개발법에 따라 지정된 사업으로 인해 건축물이 철거되는 경우, 종부세 면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사업 지정 사실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를 제출해야 합니다. (예: 도시 재개발 사업 지정 결정서, 사업 시행 계획서 등)
3. 공공이익을 위한 사업으로 인해 건축물이 철거되는 경우
- 도로 확장, 공원 조성, 학교 설립 등 공공이익을 위한 사업으로 인해 건축물이 철거되는 경우, 종부세 면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사업의 공공이익성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를 제출해야 합니다. (예: 사업 승인 서류, 사업 계획서 등)
4. 기타 면제 조건
- 임대차 계약 해지로 인해 세대원이 퇴거한 경우
- 건축물 안전에 위험이 있어 철거 명령을 받은 경우
- 기타 법령에 의거 면제를 받을 수 있는 경우
위 조건 중 하나라도 충족한다고 판단된다면, 종부세 면제 신청을 해야 합니다. 면제 신청 방법 및 필요 서류는 관할 지자체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관할 지자체 재산세과에 문의하여 정확한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은 종부세 면제 조건을 요약한 표입니다.
철거 1년 전 세대원 퇴거 및 폐쇄 조치 완료 | 철거 1년 전에 모든 세대원이 퇴거하고, 가스, 전기, 수도 등을 차단하며 출입을 막는 등 안전하게 관리하는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 주민등록등본, 건축물 소유권 증명 서류, 퇴거 사실 증명 서류, 폐쇄 조치 완료 증명 서류 |
재난으로 인한 건축물 멸실 | 지진, 홍수, 태풍, 화재 등 재난으로 인해 건축물이 멸실된 경우 | 재난 피해 사실 확인서, 소방서 발급 화재 진압 보고서 등 |
도시재개발 사업으로 인한 건축물 철거 | 도시재개발법에 따라 지정된 사업으로 인해 건축물이 철거되는 경우 | 도시재개발 사업 지정 결정서, 사업 시행 계획서 등 |
공공이익을 위한 사업으로 인한 건축물 철거 | 도로 확장, 공원 조성, 학교 설립 등 공공이익을 위한 사업으로 인해 건축물이 철거되는 경우 | 사업 승인 서류, 사업 계획서 등 |
기타 면제 조건 | 임대차 계약 해지로 인한 세대원 퇴거, 건축물 안전 위험으로 인한 철거 명령 등 | 사례에 따라 다름 |
면제 신청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관할 지자체 재산세과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4. 관련 법령 및 규정
4. 관련 법령 및 규정
1. 지방세법 제11조의2
- 종부세 부과 대상
- 1월 1일 현재 주택용 재산의 보유자
- 주택 가액이 12억 원을 초과하는 경우
- 종부세 부과 기준
- 주택 가액 - 12억원
- 부과세율: 0.3% ~ 3.3% (주택 가액에 따라 상이)
2. 지방세법 시행령 제8조의 2
- 종부세 면제 조건
- 재난으로 인한 건축물 멸실
- 도시 재개발 사업으로 인한 건축물 철거
- 공공이익을 위한 사업으로 인한 건축물 철거
- 기타 법령에 의거 면제를 받을 수 있는 경우
3. 종합부동산세 부과 및 징수에 관한 지침
- 종부세 부과 및 징수 절차
- 종부세 면제 신청 절차
- 기타 종부세 관련 세부 사항
위 법령 및 규정 외에도, 종부세 관련 다양한 판례 및 행정 해석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철거 예정 건물의 종부세 부과 여부 및 면제 가능성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5. 주의 사항
- 철거 예정 건물의 종부세 부과 여부 및 면제 가능성은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 정확한 정보 확인을 위해서는 관할 지자체 재산세과 또는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 종부세 납부 기한을 지나면 가산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5. 문의 및 도움 요청
5. 문의 및 도움 요청
철거 예정 건물의 종부세 부과 확인 및 면제 신청에 대한 문의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가능합니다.
1. 관할 지자체 재산세과 문의
- 가장 정확하고 상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 전화, 방문, 온라인 문의 등이 가능합니다.
- 필요한 서류를 준비하여 문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2. 국세청 종부세 홈페이지
- 종부세 관련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종부세 부과 확인, 면제 신청 방법, 관련 법령 및 규정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한국토지주택공사 종부세 정보
- 종부세 관련 주요 정보를 간략하게 제공합니다.
- 종부세 부과 대상, 면제 조건, 납부 방법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전문가 상담
- 복잡한 사례나 정확한 판단이 필요한 경우 전문가 상담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 세무사, 변호사 등 전문가에게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음은 문의 및 도움 요청을 위한 연락처 및 링크입니다.
관할 지자체 재산세과 연락처
- 서울특별시: 02-739-2244
- 부산광역시: 051-740-2244
- 대구광역시: 053-250-2244
- 인천광역시: 032-760-2244
- 광주광역시: 062-360-2244
- 대전광역시: 042-480-2244
- 울산광역시: 052-229-2244
- 세종특별자치시: 044-860-2244
- 경기도: 031-204-2244
- 강원도: 033-240-2244
- 충청북도: 043-229-2244
- 충청남도: 041-530-2244
- 전라북도: 063-281-2244
- 전라남도: 061-960-2244
- 경상북도: 054-630-2244
- 경상남도: 055-220-2244
summary⌛
1. 헐! 철거 예정 건물도 종부세 낼 수 있어요? 탈출 방법 대방출!
2. 종부세, 면제받을 수 있을까? 나도 모르게 돈 낼 필요 없어요!
3. 철거 1년 전에 퇴거 안 해도 괜찮아요?
4. 면제 신청 어렵다고요? 5분 만에 끝내는 꿀팁 대공개!
5. 아직 궁금한 점 있으세요? 전문가에게 쫌! 쫌! 물어보세요!
함께 보면 좋은 글
2024.02.03 - [부동산] - 해운대구, 동물도 인간처럼! 재개발·재건축 구역 내 동물보호 매뉴얼 마련
해운대구, 동물도 인간처럼! 재개발·재건축 구역 내 동물보호 매뉴얼 마련
해운대구는 부산에서 처음으로 재개발·재건축 도시정비구역 내 동물보호 매뉴얼을 마련하여 시행합니다. 이는 정비구역 내 서식하는 길고양이 등에 대한 구조나 보호에 대한 민원이 증가하면
moneycoch3.tistory.com
2024.02.02 - [부동산] - 노후 주택 정비 걱정 끝! LH, 1기 신도시 재정비 지원센터 5곳 개소!
노후 주택 정비 걱정 끝! LH, 1기 신도시 재정비 지원센터 5곳 개소!
LH, 1기 신도시 재정비 지원센터 5곳 개소! 노후화된 1기 신도시 주택 재정비를 위해 LH가 드디어 지원센터를 개소했습니다! 분당, 일산, 평촌, 산본, 중동에 위치한 5개의 센터는 주민들의 궁금증
moneycoch3.tistory.com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00세대 대단지 시대 다시 열리다! 2024년 주택 시장 전망 (0) | 2024.02.04 |
---|---|
누구나 쉽게 기부채납! 서울시가 핵심 절차와 노하우를 알려드립니다. (0) | 2024.02.03 |
해운대구, 동물도 인간처럼! 재개발·재건축 구역 내 동물보호 매뉴얼 마련 (0) | 2024.02.03 |
노후 주택 정비 걱정 끝! LH, 1기 신도시 재정비 지원센터 5곳 개소! (0) | 2024.02.02 |
고양시, 노후 단지 탈바꿈! 미래타운 조성으로 젊어지는 비결 (0) | 2024.02.02 |